광주 견문록/광주 견문록

나무에 문패가 있다. 괘고정수(掛鼓亭樹)

simpro61 2013. 8. 19. 08:59

 

나무에 이름이 걸려있다. 괘고정(掛鼓亭)이라고 한다.

걸괘(掛)에 북고(鼓)를 쓰는 이 왕버들 나무는 필문 이선제(畢門 李先齊 1389∼1454)가 심으면서 이 나무가 죽으면 가문이 쇠락해지니 후손들에게 관리를 잘하라는 말과 예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 후 이선제의 후손들은 선조의 예언을 따라 나무를 잘 관리하였으며 후손 중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나오면 이 나무에 급제자의 이름과 북을 걸어놓고 축하잔치를 열었기 괘고정(掛敲亭)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괘고정은 광주광역시 남구 대촌동 포충사 바로 옆에 있는 광산이씨 종가댁 입구에 있으며 필문 이선재의 후손들이 사는 마을의 당산나무와도 같은 나무로 수령이 벌써 600살이나 되는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4호이다.

 

이 나무는 이선제의 예언처럼 1589년 이선제의 5대손인 이발(李潑)이 기축옥사로 일컬어지는 `정여립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심문관인

송강 정철에게 모진 고문을 받아 이발은 물론 그의 어머니와 가족들까지 죽임을 당하자 이 왕버들 나무가 말라죽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 이발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게 되자 죽은 지 300여 년이 지난 왕버들 나무에서 새로 잎이 나와 살아났다는 전설이 있는 나무로 지금도 광산이씨 후손들은 정철의 연일정씨와 혼사를 맺지 않고 가문의 적인 송강 정철을 빗대 깍두기를 담그는 무를 썰 때

 `송강송강’ 썰고, 무생채를 썰 때도 `철철철’ 썰라는 표현을 한다고 한다.

그러나 무등산자락의 충효동 지실 마을에는 송강 정철의 후손들이 살고 있으니 이제 시대를 뛰어넘어 양 가문의 화해가 이루어진다면

괘고정수도 천수를 다할 때까지 마을과 가문의 수호신으로 영원할 것이다.

 

 

 

이곳의 바로 위쪽에는 필문 이선제의 신위를 모신 사당인 부조 묘가 있고 앞의 작은 연못가에도 아름드리 노거수인 왕버들 나무와 오래된 산사나무가 있다고 하니 괘고정수를 탐방한 후 꼭 들러봐야 할 곳으로 바로 옆의 고경명장군의 포충사를 둘러보고 바로 뒷산인 제봉산을 넘어 압촌마을에 있는 고경명장군의 종가 고원희가옥과 고씨삼강문, 압촌제까지 이어지는 역사기행과 적당한 산책을 통해 두 위인의 삶을

재 조명해 보는 것도 괜찮은 주말 나들이가 될 것이다.

 

 

 

왕버들은 버드나무 중에서 수세가 가장 크고 웅장하게 자란다는 뜻으로 왕버들이라고 하는데 개울가나 호수 등 물이 많은 곳에 주로 자라지만 충효동 왕버들처럼 이곳의 왕버들도 마을의 수호신처럼 마을 입구에 버티고 서서 온갖 역풍을 막아내고 있는듯하다.

 

 

 

예로부터 마을의 어른들은 왕버들 나무가 심어져 있는 곳의 샘물은 그냥 먹어도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해서 바로 마셨다고 한다.

버드나무 뿌리에는 무수히 많은 잔털이 달려있어 이것들이 지하로 스며드는 물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역할을 하고 정수작용을

하기에 왕버들 나무 옆의 샘물은 물이 맑기 때문이다.

 

 

 

또한, 왕버들의 줄기는 진통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치통이 심할 때 가지를 물리게

하는 처방을 했고, 이순신 장군은 무과시험 중 말에서 떨어져 발목이 부러졌을 때 버드나무 가지로 부목을 만들어 발목을 고정한 다음

다시 말을 타고 시험을 계속해 급제하였다. 또한, 버드나무는 세계적 진통제인 아스피린의 주원료로 유한양행 회사의 심볼이기도 한다.

 

 

 

그만큼 왕버들은 인간세계에 널리 유익한 식물로 오랜 수명만큼이나 인간들과 같이 삶을 살고 역사의 산증인으로 우리 곁을 지키고

있는 것이다.

 

 

광주에는 광산이씨 괘고정수만큼 수형이 거대한 노고수들이 상당히 많다.

 

 

이 괘고정수를 KBS 광주방송에서 취재를 나왔다.

지난 8월3일 광주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광주문화관광탐험대를 취재하는 과정인데, 못 가봤던 곳을 이 기회에 둘러보게 되어

여러가지로 유익했던 탐방이 되었으며, 다음 코스는 고경명장군의 압촌마을에 있는 압촌제로 향해 본다.

 

 

(글 : 포토뉴스코리아, 광주문화재단 문화관광탐험대simpro)

트위터 http://twitter.com/huhasim

페이스북 ☞http://facebook.com/inseob.shim.7

 


 

 

    (공지사항)

    1.본문 내용과 관련없는 복사댓글은 정중히 사양합니다.(블로거 예절입니다)

    2.광고성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합니다. (이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3.제 글을 추천해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맞추천은 기본이구요 댓글을 남겨주시면 저도 댓글 올립니다.   

    4.스크랩은 자유롭게 하되, 꼭 퍼감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스크랩글의 추천은 당연한 예의겠죠?^^)

    5.추천과 즐겨찾기 없는 친구신청은 정중히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