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 29. 06:30ㆍ광주 견문록/광주 견문록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나비를 카메라로 잡기가 매우 힘듭니다.
셔터속도 : 1/500초, ISO : 100, 조리개 : F4, 노출 : -1
꿀풀위에 나비가 사뿐히 앉았습니다.
나비도 귀엽지만, 꽃도 참 특이합니다.
꿀풀에 대해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자원포털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공공누리, KOGL)제1유형 ”으로 출처를 밝히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학명 : Prunella asiatica Nakai
생물학적 분류
문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강 : 목련강(Magnoliopsida)
목 : 꿀풀목(Lamiales)
과 : 꿀풀과(Lamiaceae)
속 : 꿀풀속(Prunella)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한반도생물자원포털(SPECIESKOREA)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5417)
개요 :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뿌리줄기가 있다. 줄기는 붉은색이 돌며, 털이 많고, 높이 20-6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꽃은 5-7월에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보라색, 분홍색, 흰색,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입술 모양,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아랫입술이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2개가 길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4개로 갈라지고,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다. 약으로 쓰인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한반도생물자원포털(SPECIESKOREA)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5417)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가 있다. 줄기는 붉은색이 돌며, 털이 많고, 높이 20-6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길이 3-5cm, 폭 1.0-1.5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잎자루는 1-2cm다. 꽃은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보라색, 분홍색, 흰색, 입술 모양, 길이 1.8-2.1cm다.
꽃차례는 길이 3-8cm다. 꽃받침은 입술 모양, 길이 7-10mm,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아랫입술이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2개가 길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4개로 갈라지고,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한반도생물자원포털(SPECIESKOREA)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5417)
해설 :
햇볕이 잘 드는 곳에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우리나라에는 두메꿀풀(P. vulgaris L.)을 비롯해 2종이 자란다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두메꿀풀은 땅속에 뿌리줄기가 없으며, 전체가 가늘고 연약하고, 화관은 1.3cm쯤으로서 작으므로 다르다.
또 두메꿀풀에 비해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뻗는 측지가 발달하는 특징이 있어 쉽게 구분된다. 이뇨제로 쓰기도 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한반도생물자원포털(SPECIESKOREA)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5417)
꽃이 핀 뒤에 꽃이삭은 검게 말라버리는데요, 꽃을 포함한 줄기와 잎은 약재로 씁니다.
생약명은 하고초(夏枯草)라고 하는데요, 갑상선에 탁월하고 간을 맑게 해주며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으며,
고혈압, 자궁염, 이뇨, 해열, 월경불순 등에 좋다고 알려졌습니다.
특히 갑상선종,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집사람이 3년 전 갑상선 수술을 받아 스트레스가 좀 있는데요,
꿀풀 열매를 달여 마시면 좋다고 합니다.
꽃과 전초는 그늘에서 말리고, 뿌리는 햇볕에서 말려 잘게 써는데요,
말린 약재를 1회에 3~6g씩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고 합니다.
유선염과 종양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붙이고 안질은 달인 물로 환부를 씻어낸다고 합니다.
어린순을 나물로도 먹는데요, 쓴맛이 강하므로 데쳐서 하루 정도 우려낸 다음 조리해야 한다고 합니다.
물로 드실 경우 꿀풀 15~20그램을 물 2리터와 합하여 1시간 정도 달인 후 수시로 보리차 대용으로 마시거나
꿀과 설탕을 1:1 비율로 효소를 담가서 먹어도 좋다고 하는데요, 인터넷으로 주문한 꿀풀을 일단 보리차 대용으로
열심히 마셔보렵니다.^^
(글,사진 : 포토뉴스코리아, simpro)
트위터 ☞ http://twitter.com/huhasim
페이스북☞http://facebook.com/inseob.shim.7
(공지사항) 1.본문 내용과 관련없는 복사댓글은 정중히 사양하며 방문하지 않습니다.(블로거 예절입니다) 2.광고성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합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3.제 글에 동감과 댓글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일일이 답글을 달 수 없지만, 꼭 방문하겠습니다. 4.추천과 즐겨찾기 없는 친구신청과 상업블로그의 친구신청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
'광주 견문록 > 광주 견문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골라 선수단과 함께 즐긴 2015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0) | 2015.07.08 |
---|---|
광주피크닉뮤직페스티벌, 광주상무시민공원에서 즐기자. (0) | 2015.07.08 |
비온 뒤 한새봉 아침 산책/광주시 북구 가볼만한 산 (0) | 2015.06.26 |
해방 - 우리 사회를 칭칭감고 있는 메르스로 부터 해방되길 기원합니다. (0) | 2015.06.25 |
남도의 향토음식이 궁금해? /남도향토음식박물관 (0) | 201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