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7. 8. 06:31ㆍ광주 견문록/광주 견문록
▲펜싱경기가 열린 김대중컨벤션센터
세계대학생들의 스포츠 축제이자 2016년 리우 올림픽 전초전인 2015광주하계 유니버시아드가 7월 3일 오후 7시 유니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젊음이 미래의 빛이다'(U are Shining)는 주제로 화려한 개막식을 갖고 12일간의 열전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광주하계U대회는 U대회 역사상 가장 많은 선수단이 참여했는데요, 146개국에서 1만 3천여 명의 선수단이 참가했습니다.
나라별로는 러시아가 92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과 미국, 중국, 한국 순으로 참가자가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조지아는 1명의 선수만이 출전했으며, 페루는 선수 1명과 임원 1명 등 2명이 참가했다고 합니다. 또한 아프리카의 앙골라는 펜싱경기에 선수 1명과 코치1명, 임원 1명 등 총 3명이 이번 U대회에 출전했는데요, 기자가 근무하는 회사의 대표가 앙골라 서포터즈 단장을 맡게 되어 정성스럽게 준비한 응원 현수막과 국기 등을 가지고 일요일 오후 펜싱경기장을 찾았습니다.
▲Marco Romero 경기장면
펜싱경기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렸는데요, 이곳에는 광주U대회 기간 중 국내외 방송 제작진과 보도진이 활동하는 MPC(메인프레스센터), 전 세계로 광주U대회 소식을 알리는 MMC(메인미디어센터), 국제신호 제작 등 방송 관련 업무가 이뤄지는 IBC(국제방송센터) 등이 있어 광주하계U대회의 두뇌와도 같은 곳으로 광주하계U대회 취재를 위한 미디어 등록만도 무려 3500여 명이라고 하니 하루 종일 취재 열기로 뜨거운 곳이기도 합니다.
▲Marco Romero 경기장면
경기는 오후 1시부터 예선이 시작되었는데요, 개인전은 남녀 에페, 남녀 플뢰레, 남녀 사브르 등 6종목이고, 단체전도 남녀 에페, 남녀 플뢰레, 남녀 사브르 등 6종목으로 모두 12개의 금메달을 놓고 각축을 벌였습니다. 개인전 결과를 먼저 말씀드리면 남자 사브르 개인종목에서 광주전자공고 출신인 송종훈(한국체대) 선수가 결승에서 드미트리 다닐렌코(러시아)를 15-12로 제압하고 깜짝 금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김선희(서울시청) 선수가 여자 사브르에서 은메달을 땄고, 남자플뢰레 곽준혁(부산외대), 남자에페 정태승(한국체대), 여자플뢰레 홍효진(대구대) 선수가 동메달을 따는 등 한국 펜싱은 개인전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수확했습니다.
▲Marco Romero 경기장면
앙골라의 Marco Romero(마르코 호메로)는 1991년생으로 올해 24세인데요, 앙골라 국적으로 포르투갈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포루투갈 공군 조종사입니다. 이번에 펜싱종목에 유일하게 앙골라 대표로 출전했는데요, 1년 전 펜싱을 그만뒀는데 이번 유대회를 참가를 위해 다시 검을 들었다고 합니다.
▲Marco Romero가 출전한 5조.
그가 출전한 남자 사브레에는 모두 60여 명의 선수가 출전했는데요, 5조에서는 독일, 이탈리아, 앙골라, 스웨덴, 우크라이나, 베네수엘라, 인도네시아 등 7개국이 출전했는데요, 앙골라의 마르코 로메로는 5조 탑시드를 받을 정도로 랭킹이 제일 높았습니다.
▲Marco Romero & Helder Alves
여기서 잠깐 펜싱에 대한 공부를 해보겠는데요, 프랑스가 종주국이다 보니 에페(Epee), 플뢰레(Fleuret), 사브르(sabre) 등 종목 명도 프랑스어이고 가르드(garde), 데벨로프망(developpement) 등 경기기술과 용어도 모두 프랑스어입니다.
▲Marco Romero와 응원단
펜싱코트는 피스트라고 부르며, 에페와 사브르는 총 길이 14m, 폭 1.8~2m 정도의 경기장을 사용하고, 플뢰레는 총 길이 12m, 폭1.8~2m의 경기장을 사용하는데요, 검은 1m 정도 되는 전기검(電氣劍)으로 먼저 찔리거나 베인 쪽의 전기 심판기 램프가 켜지기에 승부를 바로바로 알 수가 있답니다.
▲좌로부터 앙골라 서포터즈 단장 이재형 보람이엔티 대표, 코치 Helder Alves, Marco Romero선수
펜싱은 1896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제1회 올림픽부터 남자 플뢰레와 사브르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는데요, 계속 종목이 추가되어 지금은 모두 12종목에 이릅니다. 한국에는 1946년 보급되었으며, 1964년 제18회 도쿄올림픽 때 처음으로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유니버시아드에는 1967년 도쿄 U대회 때 처음 출전했다고 합니다.
▲Marco Romero와 앙골라 서포터즈 단장, 이재형 보람이엔티 대표
국제 대회 성적은 1978년 제8회 방콕아시아 경기 플뢰레 단체에서 첫 금메달을 땄으며, 2000년 제27회 시드니 올림픽 남자 개인 플뢰레에서 김영호가 첫 금메달을 딴 이후 급성장을 보여 2012년 런던올림픽 남자 사브르 단체금메달, 여자사브르 개인전 금메달 등 최고 성적을 올렸는데요, 현재 남자 사브르는 세계 랭킹1~3위를 휩쓸고 있으며 여자 또한 정상급 실력을 보이고 있다고 하니 이제 우리나라도 펜싱 강국임은 분명합니다.
▲Marco Romero
그런데 우리가 응원한 Marco ROMERO(마르코 호메로) 선수는 가장 랭킹이 높았음에도 막상 경기에 임해서는 몸이 무거웠는지 계속 아쉬운 패배를 기록했는데요, 1경기가 끝나고 다음 경기를 기다리면서 우리가 준비해 간 앙골라 응원 현수막과 국기를 보고 상당히 놀라는 표정이었습니다.
포루투갈 육군 대령인 Helder Alves(헬더 알베스) 코치와 Romero의 브라질 친구도 의외의 방문객에 깜짝 놀랐는데요, 잠시 후 Carlos Lopes(카를로스 로페스) 단장과 이상훈 통역까지 참석해 우리의 호의와 성원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인사를 받았습니다.
▲좌로부터 앙골라 서포터즈 단장 이재형 보람이엔티 대표, Marco Romero선수, 이상훈 통역 아타셰
분위기가 고조되어 좋은 컨디션을 보였음에도 Marco ROMERO(마르코 호메로) 선수는 경기에서 부진을 거듭해 결국 예선 탈락하고 말았는데요, 22시간을 비행끝에 경기 사흘전 광주에 도착해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성적보다 세계대학생들의 축제에 참가해 더 많은 세계의 젊은이들과 교류하고 소통하며 경기를 치렀다는 의미에 더 관심을 가진 모습이었습니다.
▲좌로부터 앙골라 서포터즈 단장 이재형 보람이엔티 대표, 단장 Carlos Lopes(카를로스 로페스), 이상훈 통역 아타셰
이제 Marco ROMERO(마르코 호메로) 선수와 Helder Alves(헬더 알베스) 코치는 8일에, Carlos Lopes(카를로스 로페스) 단장은 12일에 포르투갈로 돌아갑니다.
▲앙골라 선수단과 즐거운 팸투어, 저녁식사
우리는 그들과 함께 사직공원 전망타워에 올라 광주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예술의 거리에서 한국의 토속적인 물건 쇼핑을 도왔습니다.
그리고 상무지구 예지원에서 광주 5味인 한정식으로 광주의 개미진 맛을 보여주었습니다.
경기 장면이 담긴 사진첩과 광주하계 유니버시아드 기념우표 등 조촐한 선물도 준비했는데요, 비록 예선 탈락하고 말았지만, 며칠간 머물렀던 광주에 대한 소중한 기억과 단 1명의 선수가 참가한 앙골라를 위해 성심성의껏 서포터 해준 우리를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것이라는 기쁜 대답도 들었답니다.
우리는 이제 서로 친구가 되었습니다. 피부색과 언어는 틀려도 서로 통하고 느끼는 감정은 같았습니다.
▲Marco Romero와 simpro
이제 광주U대회도 중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승리에 승리를 더해 금메달을 목에 건 선수가 있는 반면, 예선 탈락해 돌아간 선수도 있고, 결승 문턱에서 좌절한 선수도 있습니다.
승리자의 환호는 늘 익숙하지만, 좌절한 선수의 눈물은 너무 안타깝습니다.
너무 승부에 연연하지 말고 대학생들만의 축제를 젊음이란 이름으로 마음껏 누리시기 바랍니다. 그게 바로 대학생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나라별 서포터즈 단장을 맡은 분들의 활약도 대단한데요, 경기 응원은 물론 우리처럼 선수단과 함께 여행과 쇼핑, 그리고 식사까지 함께 어우러지는 광주유대회가 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동고동락하는 통역봉사자들의 역할도 참으로 큽니다.
이들이야 말로 진정한 민간외교관이겠죠?
이제 일주일 남은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조직위 관계자는 물론, 자원봉사자, 서포터즈들의 봉사와 노력으로 가장 성공한 대회로 기록되었음 합니다.
(글 : 포토뉴스코리아,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블로그기자 simpro)
트위터 ☞ http://twitter.com/huhasim
페이스북☞http://facebook.com/inseob.shim.7
(공지사항) 1.본문 내용과 관련없는 복사댓글은 정중히 사양하며 방문하지 않습니다.(블로거 예절입니다) 2.광고성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합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3.제 글에 동감과 댓글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일일이 답글을 달 수 없지만, 꼭 방문하겠습니다. 4.추천과 즐겨찾기 없는 친구신청과 상업블로그의 친구신청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
'광주 견문록 > 광주 견문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자동차 100만 대 생산기지, 꿈은 이루어 진다. (0) | 2015.08.28 |
---|---|
광주 달동네 발산마을에 핀 도라지꽃 (0) | 2015.08.04 |
광주피크닉뮤직페스티벌, 광주상무시민공원에서 즐기자. (0) | 2015.07.08 |
갑상선에 좋다는 꿀풀입니다. (0) | 2015.06.29 |
비온 뒤 한새봉 아침 산책/광주시 북구 가볼만한 산 (0)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