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디자인으로 혁신하라/제8차 지역발전 리더스 테마특강, 정경원 카이스트교수

2013. 11. 30. 07:05세상 견문록/세상 견문록

 

 

제8차 지역발전 리더스 테마 특강

 

주제 '창조경제, 디자인으로 혁신하라'

디자인은 더 이상 제품이나 시설에 국한되지 않는다.

디자인은 지역의 제2의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 희망이다.

 

창조 디자인 전략 도출 등 오랜 경험을 쌓은 전문가에게 노하우를 듣고 지역발전 디자인에 기여하고자 지역발전위원회의 후원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광주디자인센터가 공동주최한 제8차 지역발전 리더스 테마특강이 2013년 11월 29일(금)오후2시

전남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용지관 B동 3층 LG이노텍홀에서 열렸습니다.

연사는 정경원 카이스트교수로 디자인 정책수립 분야 최고 전문가의 강연을 듣기위해 지역발전 디자인정책 및 사업에 관심있는 일반시민과 디자인 전문가, 디자인을 공부하는 대학생 등 LG이노텍홀은 만석이 될 정도로  뜨거운 호응이 있었습니다.

약2시간에 걸친 강연과 질의응답으로 디자인 정책과 발전모델에 대한 가려운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어 디자인에 의한 지역발전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 넣었습니다.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약 2시간 동안 전남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용지관 B동 3층 LG이노텍홀은 쌀쌀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강당을 가득채운 청중의 뜨거운 열기로 후끈 달아 올랐습니다.

오늘 연사는 정경원 카이스트 교수입니다. 사회자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최샛별 전문위원입니다. 

 

 

광주디자인센터 장상근 원장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좌로부터 한국산업기술 평가관리원 지역사업평가센터의 이여진 센터장, 최샛별 전문위원, 광주디자인센터 장상근 원장입니다.

 

 

이여진 센터장에 의해 지역발전포털 레디스(REDIS)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가 소관부처이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운영하는 지역발전포털 REDIS(Regional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해 신설되었으며 지역발전 관련 여러 정보사이트를 종합, 지역사업정보를 제공하는 지역발전 정책 분야의 대표적인 정보포털입니다.

 

REDIS는 2,000개도 넘는 부처, 지자체, 연구소, 유관기관 등에 산재하는 지역발전 관련 정보를 한곳에 모은 지역정보 네비게이터로서 지역발전 지원기관 간 사업, 통계, 소식, 자료 등을 상호공유하는 지역정보공유 플랫폼이기도 합니다.

또한 지역에서 열리는 세미나, 포럼, 산업발전, 연구개발 등 다양한 지역발전 이슈를 스토리화하고 지역의 숨은 명소, 명인, 명품, 축제, 이슈 등 다양한 전통문화예술을 스토리텔링화 하여 REDIS를 통해 보다 널리 알리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야기광장및 지역네트워크로  활용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합포털로 공식블로그 REDIS(네이버)도 같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강의내용은 1.창조경제와 디자인 2.디자인경영 : 브랜딩, 디자인, IP의 융합 3. 지자체의 디자인 경영 사례 4.디자인경영의 숙성단계 등으로 '나날이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에서 엔저에 치이고, 중국에 쫓기며 샌드위치 신세가 된 한국경제, 어떻게 해야 하나?'의 질문에 '창조적 디자인이 답이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매킨지 보고서 '글로벌 금융투자산업 트렌드 및 전략방향'(2013.11.21)에서는 '한국, 냄비 속 물 더 뜨거워졌는데 아직도 못 느껴...,

개구리가 냄비를 뛰쳐나갈 기회는 남아. 서비스에서 기회를 찾아야...,한국 금융, 뉴욕 런던이 아니라 아시아이 시카고가 되도록...등

비판과 방향 모색을 동시에 제시했습니다.

 

 

그래서 영국과 일본, 이슬라엘, 독일 등 선진국가 창조산업의 경제적 기여와 영국 런던, 미국 뉴욕, 일본 요코하마,스페인 빌바오 등

도시디자인 영 사례 유형을 분석해 한국이 지향해야 할 모델을 찾아 봤습니다.

 

 

질의 응답 시간도 아주 뜨거웠습니다.

모두 5명에게서 어려운 질문을 받아 아주 명쾌하게 궁금증을 풀어 주었습니다.

  

 

디자인은 삶의 질과 경쟁력을 높여주는 매력발전소이다.

디자인도 잘 써야 보약이다. 잘못된 디자인은 독이다.

열린 마음으로 디자인을 경영해야 한다.

디자인 경영이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그러나, 전략적 수단이 될 수는 있다.

라는 말을 마지막으로 2시간에 걸친 강연은 끝났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정경원 교수를 중심으로 주최측과 함께 기념사진 촬영이 있었습니다.

글쓴이는 최근 김대중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디자인코리아2013를 취재했고, 광주디자인비엔날레도 취재했습니다.

이렇게 광주에서 열린 굵직굵직한 디자인관련 전시회와 축제를 취재했지만, 늘 해소되지 못한 것이 바로 디자인 정책이었습니다.

오늘 이 강연을 통해 그동안의 궁금증이 풀리고 디자인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받은 것 같아 대단히 즐거운 취재가 되었습니다.

아래 글 들은 광주에서 열린 디자인관련 취재 내용입니다. 오늘 강연과 더불어 다시 한번 봐야할 내용이 되겠습니다.

 

제4의 물결이 밀려온다. 디자인코리아 2013

2013광주디자인비엔날레 개막식 명장면들

2013광주디자인비엔날레를 즐겨보자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 '고래집'을 만나다                                                                                                                  

 

정경원 교수

1989 맨체스터메트로폴리탄대학교대학원 디자인학 박사

1982 시라큐스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과 석사

1980 서울대학교 대학원 응용미술학 석사

1975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 학사

디자인서울 총괄본부 본부장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 고문

디자인경영협회 고문

카이스트 경영공학과 겸임교수

2007 브라운상 초빙 심사위원

2006 ~ 2007 아시아 디자인상 심사위원

2004 ~ 2005 카이스트 대외협력처 처장

2002 미국우수산업디자인상 심사위원

2000 ~ 2003 한국디자인진흥원 원장

1996 세계화추진위원회 연구간사

1995 산업자원부 기술정책 자문위원

1995 ~ 1999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 집행위원

1984 ~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1979 ~ 1984 한국디자인진흥원 주임연구원

2003 제5회 산업디자인진흥대회 은탑산업훈장

1999 제1회 산업디자인진흥대회 디자인공로부문 대통령표창

1995 한국과학기술원 공로상

1973 제8회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대한상공회의소회장상

욕망을 디자인하라(청림출판 2013)

정경원의 디자인경영 이야기(브랜드아큐맨 2010)

CEO가 꼭 알아야 할 디자인경영 10포인트(한국디자인진흥원 2008)

디자인경영(안그라픽스 2006)

디자인과 브랜드 그리고 경쟁력(웅진북스 2003)

세계 디자인 기행(미진사 1996)

디자인이 경쟁력이다(웅진출판 1994)

미래의 경쟁 디자인에 달렸다(디자인하우스 1993)

(자료출처 : 네이버 인물검색)

 

(글, 사진 : REDIS 블로그기자 심인섭)

트위터 http://twitter.com/huhasim

페이스북 ☞http://facebook.com/inseob.shim.7

 

 


 

 

    (공지사항)

    1.본문 내용과 관련없는 복사댓글은 정중히 사양합니다.(블로거 예절입니다)

    2.광고성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합니다. (이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3.제 글을 추천해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맞추천은 기본이구요 댓글을 남겨주시면 저도 댓글 올립니다.   

    4.스크랩은 자유롭게 하되, 꼭 퍼감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스크랩글의 추천은 당연한 예의겠죠?^^)

    5.추천과 즐겨찾기 없는 친구신청은 정중히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