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견문록(134)
-
다누비타고 돌아본 부산 태종대
한국해양대학교 신입생 체적측정장에서 측정해 주신분이 '이제 가도 되니 부산 이곳저곳 많이 구경시켜주세요' 한다. 당연한 말씀. 광주에서 부산까지 3시간 30분을 달려왔는데 그냥 돌아가면 되겠는가? 앞으로 영도에 올 일도 많겠지만, 가급적 장기계획을 가지고 부산을 하나씩 정복해 ..
2014.01.29 -
부산의 명물 '영도대교 도개식' 보고 가시게요.
아들이 대학을 부산으로 가게되어 목요일 아들과 둘이 승용차편으로 부산을 찾았다. 광주에서 부산 영도의 한국해양대학교까지는 3시간 30분 정도 걸리는데 가는 길에 꼭 보고 싶은 것이 있어 서둘렀다. 하지만 부산시내에 들어서기 전 고속도로 공사여파로 차량이 정체되기 시작하고 기..
2014.01.24 -
아들과 떠난 인권여행 6편/선진마을공동체 '삼각산 재미난 마을'
글쓴이가 사는 지역은 광주시 북구 일곡동으로 자연마을과 아파트가 섞여있는 곳이다. 그곳에 한새봉 개구리논을 공동경작하며 회원들간 유대관계를 맺어가는 두레가 있는데 바로 한새봉두레이다. 두레는 ‘더불어 일하고 놀이하는 생활공동체’의 의미로, 중남부지방 농촌 지역에서 ..
2014.01.02 -
아들과 떠난 인권여행 5편/독립과 민주의 현장, 서대문형무소
4편 아들과 떠난 인권여행/서대문형무소 역사교육관에서 이어집니다. 서대문형무소(서울구치소)는 1986년 88서울올림픽 개최로 인한 서울구치소 이전 계획에 의해 1987년 11월 15일에 경기도 의왕시로 옮겨갔고 현재의 서대문형무소는 1988년 2월 20일 김구, 강우규, 유관순 등이 옥고를 치렀..
2013.12.28 -
아들과 떠난 인권여행 4편/서대문형무소 역사교육관
반인권의 상징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을 나서 독립과 민주의 현장 서대문형무소로 이동했다. 독립과 민주의 현장! 서대문형무소 김구, 유관순, 한용운, 최남선, 안창호, 이광수, 김두환, 김대중, 김지하, 문동환, 고은, 김근태 이 분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80년에 걸쳐 모두 서대문..
2013.12.27 -
아들과 떠난 인권여행3편/사람과 짐승은 문 하나 차이, 남영동 대공분실
인권(人權)이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에 우리나라의 민주정치를 설명하면서 인권의 뜻을 풀이해놨다. 인권은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로 똑같이 사람으로 태어났지만 사람마다 외모나 교육 정도, 사는 형편 등이 제각기 달라. 하지만 한 가지 같은 게 있지..
2013.12.26